9 EyeWorld Asia-Pacific | June 2025 About the Physician Ronald Yeoh, MD | Consultant Eye Surgeon & Medical Director, Eye & Retina Surgeons |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Duke-NUS Grad Med School, Singapore National Eye Centre | ry@ers.clinic Relevant Disclosures Yeoh: None References 1. Yeoh R. The ‘pupil snap’ sign of posterior capsule rupture with hydrodissection in phacoemulsification. Br J Ophthalmol; 1996 May;80(5):486 2. I Howard Fine. Cortical cleaving hydrodissection. J Cataract Refract Surg. Volume 18, Issue 5, September 1992, Pages 508-512 3. AR Vasavada, D Goyal, L Shastri, R Singh. Corticocapsular adhesions and their effect during cataract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003; 29: 309-314 4. R Yeoh, J Theng. Capsular block syndrome and pseudoexpulsive haemorrhage. J Cataract Refract Surg. 2000 Jul;26(7):1082-4 5. Roberts TV, Sutton G, Lawless MA, Shveta JB,Hodge C. Capsular block syndrome associated with femtosecond laser assisted cataract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011; 37:2068-2070 6. Yeoh R. Hydrorupture of the posterior capsule in femtolaser cataract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012; 38:730 7. Chang, David F.; Campbell, John R. Intraoperative floppy iris syndrome associated with tamsulosin. J Cataract Refract Surg; 31(4):664-673, April 2005 8. Ishtiaque A, Rahman Sharah. Sleeve hydrodissection: An innovative hydrodissection technique for IFIS. Submitted to JCRO 9. Osher R. Yeoh R. Riding the hydrodissection wave. J Cataract Refract Surg. 49(7):657-658, July 2023 오늘날 수력분리술의 의의 30년 넘게 사용되어 온 술기인 수력분리술이오늘날 백내장 술자에게 여전히 유의미한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1. 펨토초 레이저 보조 백내장 수술 (FLACS) 지난 10여 년간, FLACS에 대해서는 지지자와 회의론자들이 공존해왔습니다. 초기 증례보고에서 Roberts 외 연구진은 FLACS 중 발생한 핵 낙하 2 예를 보고했습니다5. 이후의 서신과 논의에서 이러한 핵 낙하가, 펨토초 레이저 적용 후에 ‘일반적인 수력분리술’ 을 시행한 데 기인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6. 레이저가 핵을 분절할 때 발생하는 가스 기포는 수정체 내부압력 (intralenticular pressure)을 증가시키며, 이 상태에서 수력분리액을 추가 주입하면 압력이 더욱 상승해 후낭 파열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가스 생성량을 줄이기 위해 레이저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며, 수력분리술을 시행하기 전에 반드시 핵 뒤쪽의 가스가 빠져나가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일부 술자들은 FLACS 증례에서 수력분리술 단계를 아예 생략하기도 합니다. 2. 기존의 후낭 약화 또는 파열 이 주제의 대표적인 예는 잘 알려진 후극 백내장 (posterior polar cataract) 입니다. 이 경우, 우리는 수력분리술은 피하고, 수력분층술을 시행해야 한다는 사실을 오래전부터 인지해 왔습니다. 그 이유는, 유체 흐름이 수정체의 약화된 후극 부위를 관통해 후낭을 파열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력분층술은 보다 깊은 평면에서 시행되며, 후극 병변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유체가 주입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후낭이 수술 전부터 이미 약화되었거나 파열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임상 상황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환자들이 이에 해당됩니다: - 바늘 찔림 사고(needlestick) 또는 외상 - 과거 유리체내 주사이력 - 공막돌륭술중 망막하액 배액(subretinal fluid drainage) - 유리체절제술 중 의인성 수정체 접촉 - YAG 레이저 유리체 용해술(YAG laser vitreolysis) (그림 5) 이러한 상황의 공통점은 수술 또는 처치 이후 수 시간 내지 수일 내에 심한 백내장이 급속히 진행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임상 양상은 술자에게 후낭에 기존의 후낭 결손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해야 하며, 이 경우 수력분리술은 반드시 매우 신중하게 시행하거나, 경우에 따라 생략해야 합니다. 3. 홍채이완 증후군(IFIS: Idiopathic Floppy Iris Syndrome) 백내장 수술 중 IFIS 환자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홍채의 3대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물결치듯이 출렁이는 느슨한 홍채 - 수술 중 점진적인 축동 - 의미 있는 홍채 탈출7 이처럼, IFIS 환자에서의 수력분리술은 홍채 탈출의 위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사실, IFIS가 없는 환자에서도 경험이 부족한 술자라면 홍채 탈출이라는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Ahmed 외 연구진은 IFIS 환자의 수술 중 홍채 탈출을 줄이는 흥미로운 술기를 제안했습니다: 수력분리용 캐뉼라 위에 파코 슬리브(phaco sleeve)를 끼운 상태에서 수력분리술을 시행하는 방법입니다8. 이때 슬리브는 주 절개창(main incision)에 위치하면서 홍채를 눌러서 압박하며, 눈 안에 축적되는 수력분리액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여, 유체가 홍채를 우회해 흐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결론 이처럼, 우리는 수력 술기를 새로운 기술과 관점으로 다시 들여다보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수력분리술 (hydrodissection)은 여전히 매우 유의미한 술기입니다9. 그동안 간과되기 쉬웠던 수력분리술의 중요성이 재조명되기를 바라며, 이 술기가 더욱 깊은 이해와 존중을 받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