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World Korea June 2025 Issue

42 EyeWorld Asia-Pacific | June 2025 GLAUCOMA 이러한 소견 외에도 Dr. Halenda는 거짓비늘증후군에서 관찰할 수 있는 추가적인 단서로, 섬모체소대 약화 (zonular instability)의 징후—예를 들어 한쪽 전방각이 반대편보다 좁게 보이는 경우—를 언급하였다. 환자가 거짓비늘 녹내장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대개 양안 간 질병의 비대칭성이 뚜렷하며, 원발개방각녹내장보다 더 높은 안압 (IOP)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가끔은 안압이 50을 넘을 정도로 매우 높게 측정됩니다. 제가 거짓비늘 녹내장을 의심하게 되는 대표적인 상황 중 하나는 양안 간 질환의 중증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물론 이것만으로 진단이 확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강한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경고 신호가 되기에 충분합니다” 라고 Dr. Halenda는 말했다. 치료 Dr. Krause는 점안안약 또는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 (SLT) 모두 거짓비늘 녹내장의 초기 치료 전략으로 적절하다고 설명하였다. 다만, 그는 SLT의 효과는 거짓비늘 녹내장 환자에서 더 빨리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환자들은 진단 시점에 이미 진행된 손상을 동반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흔합니다” 라고 Dr. Krause는 말했다. “가능하다면 백내장 수술과 병합하여 시행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전방각 기반 수술(angle-based procedures) 로는 goniotomy, Hydrus Microstent (Alcon), Omni (Sight Sciences), iTrack Advance (Nova Eye Medical)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침습도가 낮은 유용한 옵션입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XEN 45 젤 스텐트(AbbVie), 섬유주절제술(trabeculectomy), 또는 녹내장션트 수술와 같은 여과 수술(filtration surgery) 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Dr. Krause는, 향후에는 맥락막상강 션트 (suprachoroidal shunt)가 거짓비늘 녹내장 치료에 유용한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Dr. Halenda는 이러한 환자에게 MIGS(Minimally Invasive Glaucoma Surgery)를 선택할 경우, trabeculotomy 나 goniotomy와 같은 절제술 기반(excisional) 시술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거짓비늘증후군을 동반한 환자들은 수술 후 염증이 더 오래 지속되고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 길고 강도 높은 스테로이드 감량(steroid tapering)이 필요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백내장 수술 시 고려사항 Dr. Halenda에 따르면, 거짓비늘증후군을 가진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시 합병증 발생률이 더 높다. 이는 주로 질환이 섬모체소대(zonules)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수정체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는 이러한 환자들에게는 충분히 큰 전낭절개(capsulorhexis)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향후 전낭절개축소(capsular phimosis) 가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이는 인공수정체 탈구(lens dislocation) 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수정체 회전(lens rotation)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수력분리 (hydrodissection)가 이뤄져야 하며, 경우에 따라 파코찹 (phaco-chop) 기법의 활용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Dr. Halenda는 거짓비늘증후군환자의 백내장 수술 시, 유리체 소실(vitreous loss) 및 섬모체소대 손상(zonular damage)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홍채에 영향을 주는 비늘 물질(exfoliative material)로 인해, 동공확장링(pupillary expansion ring) 또는 홍채후크(iris hooks)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고 하였다. 수정체 불안정성 (lens instability)이 있는 경우에는 capsular tension segment(CTS) 또는 수정체낭 후크 (capsular hooks) 가 필요할 수 있다. “일부 술자들은 3-piece IOL를 수정체낭 내에 삽입하는 것이 수정체낭에 약간의 긴장을 가해 더 높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선호합니다” 라고 그는 설명했다. “또한, 비늘 물질은 각막내피를 손상시킬 수 있어, 백내장 수술 또는 그 외의 안구내 수술 후 각막대상부전 (corneal decompensation)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마지막으로 Dr. Halenda는, 이러한 환자들은 백내장 수술 후 안압 급상승(IOP spike)의 위험이 높으며, 특히 MIGS(Minimally Invasive Glaucoma Surgery)가 함께 시행되지 않은 경우에 그 위험이 더 크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그는 “수술 종료 시, 점탄물질을 철저히 세척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라고 강조하였다. About the Physicians Kevin Halenda, MD | Assistant Professor of Ophthalmology,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West Virginia | evin.halenda1@hsc.wvu.edu Michael Krause, MD, PhD |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Virginia, Charlottesville, Virginia | xdb3me@uvahealth.org Relevant Disclosures Halenda: None Krause: None Reference 1. Schlötzer-Schrehardt U, Naumann G. Ocular and systemic pseudoexfoliation syndrome. Am J Ophthalmol. 2006;141:921–937. This article originally appeared in the March 2025 issue of EyeWorld. It has been slightly modified and appears here with permission from the ASCRS Ophthalmic Services Corp. “이 질환은 아마도 과소진단(underdiagnosed) 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많은 환자들이 이 질환을 가지고 있지만, 미세한 진찰 소견들이 있어 쉽게 놓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Kevin Halenda, MD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