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EyeWorld Asia-Pacific | June 2025 ASIA-PACIFIC PERSPECTIVES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의 진단 및 관리”라는 주제의 기사에 대해 저의 소견을 전할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이 주제는 특히 성인과 소아 환자 모두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더욱 중요성을 갖고 있습니다. 소아 환자에서의 진단적 어려움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은 만성 알레르기 질환 등으로 장기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가 필요한 소아 환자에서 특히 진단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환자군은 증상을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세심한 안과적 모니터링이 요구됩니다. 시야 흐림, 불빛 주변의 달무리(halo), 미세낭포성 각막부종 (microcystic corneal edema) 과 같은 초기 증상은 간과되거나 오해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환아가 시각 증상을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 안압 상승을 암시하는 유일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Manchima MAKORNWATTANA, MD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Ophthalmology, Thammasat University, Thailand, Paholyothin, Pathumtani manchima123@yahoo.com 과거 스테로이드 노출력의 고려 시신경병증이나 뚜렷한 병리학적 소견이 없이 시야결손이 있는 환자들이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활성 녹내장 손상이 없고 스테로이드 사용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과거 스테로이드 노출력을 질병의 원인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질환이 현재 진행 중이지 않더라도, 이전 스테로이드 유발 손상으로 인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후유증이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과잉 치료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과거 스테로이드의 오남용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자세한 병력 청취가 매우 중요하며, 현재 위험이 지속되지 않는다면 정기적인 안과 의뢰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에게는 스테로이드 사용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교육이 예방적 측면에서 핵심 요소임을 강조해야 합니다. Editors’ note: Dr. Manchima Makornwattana disclosed no relevant financial interests. About the Physicians Rebecca Chen, MD |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Ophthalmology & Vision Sc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Sacramento, California | rebeccaichen@gmail.com Malik Y. Kahook, MD | Professor and Vice Chair,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later Family Endowed Chair in Ophthalmology, University of Colorado Anschutz Medical Campus, Aurora, Colorado | malik.kahook@gmail.com Robert Noecker, MD, MBA | Ophthalmic Consultants of Connecticut, Fairfield, Connecticut | noeckerrj@gmail.com Relevant Disclosures Chen: None Kahook: Alcon, FCI, New World Medical, SpyGlass Pharma Noecker: None This article originally appeared in the March 2025 issue of EyeWorld. It has been slightly modified and appears here with permission from the ASCRS Ophthalmic Services Corp.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