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EyeWorld Asia-Pacific | June 2025 CORNEA 세 명의 각막 전문의와 한 명의 안성형외과 전문의는 일부 경우에 영구적 또는 일시적 눈꺼풀봉합술(tarsorrhaphy)을 통해 눈꺼풀을 닫는 것이 각막 치유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 술식은 여러 면에서 “각막의 가장 든든한 동반자” 라고 평가된다. 반면, 환자 입장에서는 눈꺼풀봉합술(tarsorrhaphy)을 그리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Christopher Rapuano, MD는 “환자들은 이 시술을 정말 싫어합니다” 라고 표현했으며, 이러한 이유로 눈꺼풀봉합술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치유 시도가 실패한 뒤에야 환자에게 권유되고 수용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Christopher R. Dermarkarian, MD는 “눈꺼풀봉합술의 가장 큰 문제는 시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잃게 된다는 점입니다” 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시술은 환자의 시야를 제한합니다. 눈꺼풀봉합술의 가장 큰 단점은 환자가 주변시야 (peripheral vision) 혹은 전체 시야를 잃게 된다는 점입니다” 라고 강조했다. Dr. Rapuano, Dr. Dermarkarian, Kourtney Houser, MD, 그리고 D. Brian Kim, MD는 눈꺼풀봉합술(tarsorrhaphy)이 어떤 상황에서 유용한지, 그 다양한 유형, 그리고 환자에게 이 시술의 필요성을 어떻게 이해시키는지에 대해 각각의 견해를 공유했다. 이들은 환자들이 처음에는 이 시술을 원치 않을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서 시력 회복을 위한 치유를 가속화 할 수 있고, 중증의 경우에는 안구 자체를 보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눈꺼풀봉합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왜 눈꺼풀봉합술(tarsorrhaphy)인가? Dr. Kim은 눈꺼풀봉합술이 각막을 보호하는 두 가지 주요 이유를 설명했다: 1)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각막 노출을 제한하고, 2) 눈깜박임(blinking)으로 인한 각막 외상을 줄이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눈깜박임 빈도는 분당 약 15~20회이며, 지속적인 지속성 각막상피결손이나 궤양이 있는 상황에서는 눈꺼풀이 각막을 반복적으로 문지르며 움직이는 것이 각막 치유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라고 그는 설명했다. 이러한 지속성 각막상피결손은 단순포진각막염(herpes keratitis), 벨마비(Bell’s palsy), 콘택트렌즈 과다 착용, 또는 안검수술 후 반흔성 토안(cicatricial lagophthalmos)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Dr. Kim은 덧붙였다. Dr. Rapuano는 각막이식 후 치유가 우려되는 경우에도 눈꺼풀봉합술을 권유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Dr. Kim은 눈꺼풀봉합술을 시행하기 전, 대부분의 경우에 시도해볼 수 있는 다양한 치료법들이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적극적인 윤활제 사용, 눈물점 폐쇄술, 치료용 보호 콘택트렌즈, 자가혈청 안약, 양막 등이 포함된다. “이는 안과의의 재량에 따르지만, 제 일반적인 기준은 공격적인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각막상피결손이 7~10일 이상 지속될 경우, 각막 혼탁이나 기질융해(stromal melt) 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눈꺼풀봉합술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by Liz Hillman, Editorial Co-Director 눈꺼풀봉합술(Tarsorrhaphy): 각막의 가장 좋은 친구 테이프-스플린트 눈꺼풀봉합술(tape-splint tarsorrhaphy) 기법. A) 상안검 피부에서 피지(sebum)를 알코올 솜으로 닦아내어 테이프의 접착력을 극대화한다. B) 눈을 감은 상태에서, 눈썹을 위로 당겨 상안검 피부를 팽팽하게 늘린다. C) 1 x 1.5인치 크기의 3M 투명 방수 플라스틱 테이프(Transpore)를 눈꺼풀에 수평으로 붙이는데, 테이프의 윗부분이 눈썹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D) Dr. Kim은 고정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두 번째 테이프를 추가로 덧붙이는 것을 선호한다. 테이프의 강성(rigidity)이 눈꺼풀을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스플린트’ 역할을 한다. E) 테이프 스플린트 효과로 눈꺼풀이 더 잘 닫히는 모습을 확인한다. 출처: D. Brian Kim, MD A C D B E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