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EyeWorld Asia-Pacific | June 2025 CORNEA 첫 번째 눈에 시술을 시행한지 며칠 만에 통증은 완전히 사라졌다. 이후 술자는 반대쪽 눈도 동일한 방식으로 치료했고,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Dr. Cheung에 따르면, BrightMEM 시술은 먼저 각막에서 불규칙한 상피와 앞층판의 각막반흔을 제거하는 표층각막절제(keratectomy)로부터 시작되며, 이는 BrightMEM을 위한 기저부를 만들기 위한 과정이다. 이 이식편은 변형된, 탈세포화된, 박리되고(pre-stripped), 염색되어 있고(pre-stained), 도장 찍힌(pre-stamped) 데스메막 형태로 제공되며, 이는 기증자의 각막에 부분적으로 부착된 상태이다. 기증 각막 버튼은 적절한 크기로 펀칭한 뒤, 환자의 각막 앞표면을 건조시킨 후 그 위에 배치한다. 접촉면에 있는 액체는 약 1-2분간 흡수시켜 제거한다. 이후 앞기질 버튼(anterior stromal button)을 제거하면 데스메막 (BrightMEM)만 남는다. 이 막은 표면을 부드럽게 펴고 건조시킨다. 만약 주름이나 접힘이 있다면, 소량의 BSS 를 더해 이를 편평하게 만들 수 있다. 그 다음, 술자는 각막 표면에 BrightMEM을 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해 접촉면의 액체를 밀어내어 제거한다. 이후 피브린 접착제(fibrin glue)로 가장자리를 봉합하고, 보호용 콘택트렌즈(bandage contact lens)를 눈 위에 착용시킨다. Dr. Cheung은 전체 시술은 약 15-20분이 소요되며, 점안마취 또는 신경차단(block anesthesia)에 시행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Dr. Tauber는 이 시술이 배우기 쉽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술자는 BrightMEM을 배치하기 위해 흉터와 혈관을 제거하고 깨끗한 표면을 노출시키는 표층 각막절제술 (superficial keratectomy)을 수행할 줄 안다. 술자들이 새롭게 배워야 할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조직이 매우 얇기 때문에(15 마이크론), 이를 곧게 펴고 편평하게 만드는 조작법이라고 Dr. Tauber는 설명했다. 이 조직은 쉽게 주름지며, 아주 작은 접촉에도 주름이 생긴다. 올바른 위치에 잘 자리잡게 하기 위한 몇 가지 특정 기술이 있지만, 흉터가 많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라면 점안마취 하에서 15분 정도 소요되는 시술이다. 반면, 흉터가 더 광범위한 경우에는 시술 시간이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 Dr. Cheung은 BrightMEM의 주요 적응증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지속성 각막상피결손의 치유라고 말했다. 현재는 부분 각막 윤부 줄기세포 결핍(partial LSCD) 사례에서도 연구가 진행 중이며, Dr. Hou는 애초에 부분 줄기세포 결핍을 염두에 두고 이를 개발했다. Dr. Tauber는 표층(superficial) 각막질환을 정의하는 진단명이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이러한 적응증에 해당하는 많은 환자들이 다른 상피질환과 병태생리가 겹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BrightMEM이 도움이 될 수 있는 각막 질환이 더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Dr. Tauber는 BrightMEM을 받은 많은 환자들이 부분 각막 윤부 줄기세포 결핍으로 인한 지속성 각막상피결손과 안구통증을 가지고 있었으며, 동시에 어느 정도의 신경영양각막염(neurotrophic keratitis)도 동반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술자들은 다양한 안구 표면 질환 환자에서 BrightMEM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Dr. Tauber는 BrightMEM 사용을 고려하는 의사들에게 초기에는 완전한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사례는 피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Dr. Cheung은 BrightMEM이 상피세포가 자랄 수 있는 기질을 제공함으로써 상피화(epithelialization)를 촉진하는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는 양막을 표층피복제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지만, 양막은 지속 시간이 짧고 비교적 불투명하다는 단점이 있다. Mr. Shukla는 BrightMEM이 시판 중이라고 말했다. 2024 년 말 기준으로 약 60명의 술자가 BrightMEM을 사용했다. “2025년에는 이 수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라고 그는 밝혔다. Dr. Tauber는 지금까지의 일부 임상 데이터를 언급하며 약 85건의 사례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되었다고 말했다. “평균 32 일 이내에 약 90%가 완전히 치유되었고, 이식편 유지율은 90%를 넘습니다. 내구성도 뛰어나서 6개월 시점에 91%가 여전히 치유된 상태였고, 12개월에는 100%가 치유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Subgroup에 따라 치유 속도에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라고 Dr. Tauber는 말하며, 술자들이 적절한 케이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Dr. Tauber는 BrightMEM이 단독 요법이 아닌 보조 치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상적인 기질을 깔고, 성장인자가 풍부한 혈청 안약으로 표면을 덮는다면, 줄기세포가 매우 적은 환자에게는 매우 좋은 조합이 됩니다. 여기에 줄기세포까지 추가하면 더 좋을 것이라 그는 말했다. 그는 “우리가 하는 일에서 협업이 미래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반드시 단독 시술로만 쓰이는 것은 아닙니다” 라고 덧붙였다. Dr. Tauber는 이것이 안구 표면 질환 치료에 있어 새롭고도 차별화된 개념이라고 말했다. 이는 주로 눈물막을 개선하거나 각막을 윤활시키는 기존 치료와는 다른 기전을 통해 각막 상피 건강을 개선시킨다. “현재 우리는 다양한 항염증제와 수성 눈물 대체제를 갖고 있고, 눈물 증발을 막기 위한 지질 대체제도 있습니다.” 이제 BrightMEM을 통해 상피 치유를 촉진하는 기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의 새로운 지평은 성장인자 보충이라고 생각합니다” 라고 그는 말하며, 여러 기업들도 이 분야를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bout the Physicians Albert Cheung, MD | Virginia Eye Consultants, Norfolk, Virginia | acheung@cvphealth.com Rajan Shukla | Chief Executive Officer, Brightstar Therapeutics, Lexington, Kentucky | rajan@brightstartx.com Joseph Tauber, MD | Chief Medical Officer, Brightstar Therapeutics, Leawood, Kansas | jtauber@brightstartx.com This article originally appeared in the March 2025 issue of EyeWorld. It has been slightly modified and appears here with permission from the ASCRS Ophthalmic Services Corp. Relevant Disclosures Cheung: Brightstar Therapeutics Shukla: Brightstar Therapeutics Tauber: Brightstar Therapeutics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