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World Korea June 2025 Issue

26 EyeWorld Asia-Pacific | June 2025 CORNEA BrightMEM 각막 동종이식(Brightstar Therapeutics)은 안구표면질환을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여러 전문가들이 BrightMEM의 임상 경험과 적용 사례에 대해 논의했다. Albert Cheung, MD는 BrightMEM은 탈세포화 된 데스메막을 기반으로 한 제품으로, 안구표면질환 치료에 적합한 고유의 특성을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데스메막의 앞쪽 면(anterior surface)에는 각막윤부 기저막(limbal basement membrane)에 존재하는 것과 유사한 세포 증식 관련 단백질(proliferative proteins) 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각막 중심부에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구성요소라고 덧붙였다. Dr. Cheung는 전임상 연구(pre-clinical studies)에서 데스메막이 상피세포 및 각막 윤부 줄기세포의 대체제 (substitute) 로 작용할 수 있으며, 양막(amniotic membrane)보다 분해(degradation)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투명성 역시 더 잘 유지되는 특성이 있음이 입증되었다고 설명했다. Joseph Tauber, MD는 ‘BrightMEM’이라는 용어는 제품명이자, BrightMEM 앞층판 각막이식(BMAK, BrightMEM Anterior Keratoplasty)이라는 시술명을 동시에 지칭하는 독특한 이중적 의미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데스메막(Descemet’s membrane)은 원래 각막의 뒷층판이지만, 우리는 그것을 안구의 앞층판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최근 미네소타대학교의 Joshua Hou, MD가 발표한 과학적 발견에 기반하고 있는데, 그는 데스메막의 전면(anterior side), 특히 태아 시기의 띠 모양 구조(fetal banded portion)에 줄기세포를 지지하고 활성화시키는 단백질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왜 이것이 중요할까? “정상적인 각막 치유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각막 윤부에는 미분화된 by Ellen Stodola, Editorial Co-Director BrightMEM 각막 동종이식 (corneal allograft): 안구표면 질환 (Ocular Surface Disease)을 위한 새로운 치료 이 증례는 77세 백인 여성 환자로, 원인 불명의 부분 각막윤부 줄기세포결핍(limbal stem cell deficiency)을 진단받고 BrightMEM 앞층판 각막이식(anterior keratoplasty)으로 치료받은 사례이다. 수술 전(좌측 사진): 환자는 8시 방향에서 6 시 방향까지, 중심 시축을 침범하는 표재성 신생혈관(superficial neovascularization) 및 판누스(pannus)를 동반하고 있었다. 수술 후 4개월 시점(우측 사진): 신생혈관의 재발 소견 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였다. 출처: Joshua Hou, MD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