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EyeWorld Asia-Pacific | June 2025 SURGICAL OUTCOMES 시력을 얻기 위해 삼중초점 인공수정체(trifocal IOL)의 위험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 저 역시 그 렌즈를 나중에 제거하게 되더라도 그걸 ‘실패’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기꺼이 함께 그 위험을 감수하겠습니다. 또한, 수술 후 레이저 재교정이 필요한 환자는 10명 중 1명 이하라는 점도 환자에게 미리 설명하며, 예측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재교정이 필요한 환자가 분명 생길 수 있음을 인정하고, 그 가능성을 고려해 레이저 재교정은 기본 비용에 포함시켜 안내하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재교정시 고려사항 Dr. Kugler는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교정 가능한 굴절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환자에게 재교정을 고려하기 시작한다고 말했다. 그는 “환자가 최적은 아니지만 현재 시력에 만족하는 경우, 재교정 단계를 생략하길 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항상 명확하게, 재교정이 시력의 질을 최대화하기 위한 권장 단계임을 설명합니다” 라고 강조했다. 또한 모든 굴절 수술과 마찬가지로, 안구표면의 관리가 수술 전후로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Dr. Kugler는 안구표면 문제를 적절히 조절하면 재교정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고, 중요한 측정값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Dr. Berdahl는 수술 후 1디옵터(D)의 난시 또는 0.5 D 이상의 굴절 오차가 남아 있을 경우, 재교정이 필요한 상황임을 인지한다고 말했다. 그보다 작은 오차의 경우에는 판단이 필요한 영역이며, 이때는 여러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는 각막지형도(topography), 두 번째는 상피 맵핑 (epithelial mapping), 세 번째는 안구건조증 평가, 네 번째는 OCT 검사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결정적 기준은 처방에 맞춘 임시 안경입니다. 환자가 그 임시 안경을 착용했을 때 ‘이렇게 보이고 싶다’고 말한다면, 그때는 제가 레이저 재교정을 시행해야겠다고 판단하는 시점입니다.” 또한 그는 각막상피(epithelium)에 대해 상피가 균일하고, 투명하며, 무증상의 EBMD가 없는 상태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r. Berdahl이 제시한 재교정 관련 추가 팁(pearls) 중 하나는, 불만족스러운 환자에게는 초기 단계에서 임시 안경을 적극적으로 처방하라는 것이다. “1주 시점에 환자가 시력에 불만을 보이고 굴절 오차가 있다면, 저는 두 가지 이유로 매우 이른 시점에 임시 안경을 처방합니다. 첫 번째 이유는, 불만족스러운 환자는 종종 ‘불만족’이 아니라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환자입니다. 그들에게 안경을 통해 좋은 시야를 보여주면, ‘두려움’에서 ‘ 해결책이 있구나’라는 신뢰로 전환됩니다. 두 번째 이유는, 이 시점에서는 후낭혼탁(PCO)이 생기지 않았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후에 PCO가 일찍 생긴다 하더라도, 안경 착용 시 시력이 향상됐던 경험이 있다면 그 시력 저하의 원인은 PCO가 아님을 알 수 있고, 이 경우 저는 YAG 레이저로 PCO를 제거한 뒤, 레이저 재교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재교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Dr. Berdahl는여러 연구에 따르면, PRK보다 LASIK이 더 예측 가능한 결과를 보인다고 말했다.¹ “고령 환자들에서는 불규칙한 각막상피(irregular epithelium)가 흔합니다. PRK를 시행하면 기존 상피를 제거하고 새로운 상피가 자라나는데, 이때 새로운 상피는 보다 매끄러운 형태로 재생되기 때문에 겉으로는 좋게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굴절 예측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가능하다면 저희는 보통 LASIK을 선택합니다. 생각해 볼 점 Dr. Kugler는 프리미엄 인공수정체(advanced-technology IOL) 수술을 할 때, 술자는 반드시 재교정 전략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히 재교정 도구에의 접근성을 확보하는 것을 넘어서, 각 환자별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향후 시나리오를 미리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비정상 각막이나 동반 질환(comorbidity)이 있어, 향후 재교정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있다면 정밀한 굴절 결과를 요구하는 다초점 인공수정체(multifocal IOL)나 높은 정확성을 요하는 렌즈는 피해야 합니다” 라고 말했다. “이런 경우 Light Adjustable Lens(LAL, RxSight) 가 특히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과거 굴절 수술 이력이 있는 환자에게 더 중요하며, 이러한 환자들은 인공수정체 삽입 후 재교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굴절 백내장 수술 후 재교정 수단으로 LASIK을 직접 시행할 수 없는 술자의 경우, Dr. Kugler는 지역 내 LASIK 전문 술자와 협업하는 전략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LASIK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다시 한번 Light Adjustable Lens(LAL)도 언급했다. “일부 술자들은 인공수정체 교체(IOL exchange)를 재교정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특히 소량의 난시를 교정할 때 LASIK과 같은 정밀한 결과를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Dr. Kugler는 전반적으로 재교정 문제는 프리미엄 인공수정체의 도입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재교정에 대한 접근성 부족, 또는 재교정 계획 자체의 부재는 프리미엄 IOL의 낮은 채택률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 어쩌면 단연 가장 큰 요인입니다.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