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World Korea June 2025 Issue

20 EyeWorld Asia-Pacific | June 2025 SURGICAL OUTCOMES 고도기능 인공수정체(advanced-technology IOL)—예를 들어 난시(toric) 및 노안 교정용(presbyopia correcting) 렌즈—을 선택한 환자들은 수술 후 시력에 대한 기대치가 더 높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렌즈에 익숙한 대부분의 술자들은, 필요 시 레이저 시력교정술, 인공수정체 재회전 (IOL rotation), 또는 인공수정체 교체(IOL exchange) 등의 방법을 통해 재교정을 시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 즉, 굴절 백내장 수술(refractive cataract surgery)에서는 어느 정도의 재교정은 예상 가능한 범위이지만, 그렇다면 과연 ‘허용 가능한 재교정률’은 얼마인가? 하는 질문이 남는다. 이에 대해 Lance Kugler, MD는 먼저 재교정이 필요한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Dr. Kugler는 “다초점 인공수정체(multifocal IOL) 환자에서 구면렌즈대응치(S.E) 0.50 D 이내, 난시(cylinder) 0.50 D 이하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데 동의한다면, 관련 데이터는 꽤 명확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정확도(IOL calculation accuracy)를 평가한 대부분의 연구에 따르면, 현대식 계산 공식은 약 80%의 환자에서 목표 굴절치 ±0.50 D 이내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가장 우수한 데이터셋에서는 90~92%의 정확도를 보고한 바 있으며, 이는 곧 이론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조건에서도 최소 8~10%의 재교정률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재교정률을 체계적으로 추적하는 굴절 및 인공수정체 수술 술자들의 비공식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10~12% 수준의 재교정률이 보고되고 있습니다”라고 했다. 한편, John Berdahl, MD는 재교정률의 범위가 2.5% 에서 12.5%까지 다양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의학에서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위험과 이득 간의 균형에 대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저희 병원에서는, 아주 작은 굴절 오차라도 환자를 ‘좋음(good)’에서 ‘탁월함(great)’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재교정을 시행합니다”라고 말했다. 재교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 Dr. Kugler는 출간된 논문 데이터들을 근거로 볼 때, 재교정률을 10% 이하로 낮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물론 어떤 술자는 재교정 자체를 시행하지 않음으로써 재교정률을 낮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곧 8~10% 의 환자들이 기대하는 만큼의 시력을 얻지 못하고, 그로 인해 불만족스러울 가능성이 크다는 뜻일 뿐입니다”라고 지적했다. 재교정을 시행하는 것에 ‘낙인(stigma)’이 존재해 일부 술자들이 이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 Dr. Kugler는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많은 술자들이 재교정을 ‘실패’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환자들 역시 사전에 충분한 설명을 받지 못한 경우, 그렇게 오해할 수 있습니다”라고 설명했다. 저희 병원에서는 모든 환자에게 수술 전부터 ‘재교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치료 과정의 정상적인 일부’임을 미리 설명합니다. 그렇게 하면 실제로 재교정이 필요할 때, 이를 실패로 받아들이지 않게 되고, 환자의 만족도도 더 높아집니다” 라고 했다. Dr. Berdahl는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의 자존심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환자에게 최상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라고 말했다. 그는 재교정률은 술자마다 차이가 있으며, 이는 각자의 임상적 판단, 보유한 기술 장비, 굴절 교정에 대한 경험, 그리고 현대적인 공식 및 백내장 수술 기법 사용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래를 예측하는 건 쉬워 보이지만, 정확히 맞히는 건 매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일부 환자들은 인공수정체 계산(IOL calculation) 이나 수차측정(aberrometry)조차 정확한 범주 안에 딱 들어맞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어떤 환자들은 다초점 (multifocality) 또는 연속초점렌즈(EDOF) 와 같은 새로운 광학 시스템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라고 설명했다. Dr. Berdahl에 따르면 “우리의 역할은 환자가 처한 현재 상태에서 출발해, 가능한 최상의 상태로 이끄는 것입니다. 물론 술자도 인간이기에, 인공수정체 교체(IOL exchange) 이나 라식 재교정(LASIK enhancement)을 시행할 때 이를 ‘실패’나 ‘실수’로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하지만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멈출 때 비로소 그것이 진짜 실패가 되는 것입니다” 라고 했다. “수술 전 눈 상태가 완벽하지 않은 경우, 환자에게 이렇게 설명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인공수정체를 교체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하지만 환자가 평생 원하는 by Liz Hillman, Editorial Co-Director 재교정률(Enhancement rates): 허용가능한 수준과 기대가능한 범위는?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