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EyeWorld Asia-Pacific | June 2025 CATARACT About the Physicians Anthony Chung, MD |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 atchung5@uw.edu Jaclyn Haugsdal, MD |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Iowa, Coralville, Iowa | jaclyn-haugsdal@uiowa.edu Omar Krad, MD | Eye Associates of Orange County, Mission Viejo, California | omarkrad@gmail.com Relevant Disclosures Chung: None Haugsdal: None Krad: None This article originally appeared in the March 2025 issue of EyeWorld. It has been slightly modified and appears here with permission from the ASCRS Ophthalmic Services Corp. ASIA-PACIFIC PERSPECTIVES Dr. Chung, Dr. Haugsdal, Dr. Krad의 이번 기사는 지난 10년간 안과 수술 교육의 역동적인 변화에 대한 통찰력 있는 관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Dr. Haugsdal이 강조한 가상 시뮬레이션, 드라이랩(dry lab), 기타 방식의 시뮬레이션이 기존의 라이브 수술 교육과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현대적 시뮬레이션 도구에 대한 접근성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도구들이 어떻게 구조화된 감독하 교육 프로그램에 통합되느냐가 진정한 교육적 가치를 결정합니다. 초보자 수준에서는 특히 감독(supervision) 이 학습 결과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잘 설계된 프로그램에서는 자기주도 학습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r. John Ferris와 동료들의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훈련을 통한 수술 합병증의 명확한 감소가 입증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보다 체계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습니다. 호주 빅토리아(Victoria) 주에서는 2018년부터 감독하에 또는 비감독 상태로 진행되는 가상현실 훈련이 의무화되었으며, 2023년부터는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되었습니다. 현재 전공의는 실제 수술에 들어가기 전에 가상 환경과웻 랩(wet lab) 환경 모두에서 숙련도를 입증해야 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수술 준비도(surgical preparedness)를 눈에 띄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요한 점은, 시뮬레이터의 사실성(fidelity)—즉, 얼마나 현실감 있게 구현되었는가—보다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한 기술이 실제 수술에 얼마나 잘 적용되는가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실성 그 자체보다는 태도, 사고방식, 핵심 술기 개발, 수행 능력 향상에 집중해야 합니다. 특히 시뮬레이션을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과정에 통합하자는 논의는 매우 고무적이었습니다. 시뮬레이션은 초보자 뿐 아니라, 새로운 술기를 연마하거나, 수술 중 합병증에 Jacqueline BELTZ, BMedSci, MBBS, MSurgEd, FRANZCO Ophthalmologist, Melbourne, Australia 2/232 Victoria Parade East Melbourne jacquelinebeltz@mac.com 대비하거나, 복잡한 수술 시나리오를 훈련하거나, 일정 기간 휴식 후 다시 수술 현장에 복귀하는 술자들에게도 큰 도움이 되는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Dr. Krad가 강조한 자신감 형성의 중요성도 매우 인상 깊었는데 이는 의사결정력과 압박 속에서의 수행 능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목표 지향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저희 센터에서도 구조화된 시뮬레이션 교육으로의 전환은 초기 수술 교육에 대한 접근 방식을 완전히 변화시켰습니다. 과거에는 수술 과정의 마지막 단계부터 역순으로 학습하곤 했지만, 이제는 전낭절개(capsulorhexis)부터 시작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어, 초심자 술자들이 더 많은 술기를 보다 안전하게 익히고 빠르게 숙련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초기 수련의에게 더 많은 수술 케이스를 배정할 수 있도록 했고, 그 결과 전체 수술 건수 증가와 대기 시간 단축으로 이어졌습니다. 감독은 랩(lab)과 수술실(theatre) 모두에서 여전히 필수적이지만, 효율성 측면에서 변화가 생겼습니다. 예를 들어, 랩에서는 1:4의 감독 비율이 가능해졌고, 이는 수술실에서의 1:1 감독과 비교해 교수진 자원의 보다 효율적인 배분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저 역시 저자들의 낙관적인 시각에 깊이 공감합니다. 지금은 수술 교육에 있어 매우 흥미로운 시기입니다. 점점 더 많은 안과 의사들이 수술 교육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거나 관련 고등 학위를 이수하고 있습니다. 이는 분명 과거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이 분야를 발전시키고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흐름을 계속해서 격려하고 확산시켜야 합니다. 앞으로 이 발전이 어디까지 나아갈지 매우 기대됩니다. Editors’ note: Dr. Jacqueline Beltz is a consultant for Alcon, and Johnson and Johnson, but has no financial interests related to the comments.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