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World Korea September 2022 Issue

NEWS & OPINION 60 EWAP SEPTEMBER 2022 측면에서 표준 Epi-off CXL과 필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얇은" 각막에 대한 정확한 컷오프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이 연구에서 357 마이크론 만큼 얇은 각막에서 수행된 TECXL 및 CACXL은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고 내피 독성의 증거는 없었다. Kmax의 감소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미했지만 CACXL 그룹에서 가장 큰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는 이 그룹에서 상대적으로 기준상태에서의 Kmax 이 상대적으로 더 크거나, 또는 더 얇은 각막두께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이 두 가지 요소들은 이전의 다른 연구들에서 XCL 이후 각막편평화가 많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3,14 내피 세포의 구조 및 기능뿐만 아니라 치료 깊이의 경계선 (demarcation line)에 대한 자세한 평가는 유용했을 것이지만 아쉽게도 이 후향적 연구에서 수행되지 않았다. 합병증은 최소화되었으며 흥미롭게도 진정한 의미의 상피 제거를 하지 않은 TECXL 그룹에서만 발생하였다. 그러나 리보플라빈 용액에 있는 상당한 양의 염화벤잘코늄에 각막이 노출되면 상피가 더 불규칙해지고 이러한 환자의 각막염에 걸리기 쉽다. 후향적인 특성, 특히 TECXL 및 CACXL 그룹에서의 제한된 샘플 수, CXL 기술의 무작위화 또는 체계적 선택의 부족은 일부 경향성들이 통계적 의미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했을 수도 있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이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TECXL과 CACXL 모두 2년 추적 기간 동안 진행성 원추각막의 완화 및/또는 안정화에 있어 표준 Epi-off CXL 과 필적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3가지 기술 각각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며 진행성 원추각막 환자의 치료에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TECXL 및 CACXL은 400마이크론 미만의 가장 얇은 각막두께의 환자에게 특히 유용하다. 더 큰 샘플수와 표준화된 치료 프로토콜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이러한 기술들을 추가로 연구하고 임상 의사들이 각막 확장증을 치료하기 위해 각 기술이 구현되어야 하는 시기와 환자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EWAP References 1. Subasinghe SK, et al. Current perspectives on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CXL).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8;256:1363–1384. 2. Wollensak G, et al. Riboflavin/ ultraviolet-a-induced collagen crosslinking for the treatment of keratoconus. Am J Ophthalmol. 2003;135:620–627. 3. Podskochy A. Protective role of corneal epithelium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 damage. Acta Ophthalmol Scand. 2004;82:714–717. 4. Malhotra C, et al. In vivo imaging of riboflavin penetration during collagen cross-linking with hand-held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 Refract Surg. 2012;28:776–780. 5. Wollensak G, Iomdina E. Biomechan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after corneal crosslinking with and without epithelial debridement. J Cataract Refract Surg. 2009;35:540–546. 6. Spoerl E, et al. Safety of UVA- riboflavin cross-linking of the cornea. Cornea. 2007;26:385–389. 7. Dhawan S, et al. Complications of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J Ophthalmol. 2011;2011:869015. 8. Leccisotti A, Islam T. Transepithelial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in keratoconus. J Refract Surg. 2010;26:942–948. 9. Cifariello F, et al. Epi-off versus epi-on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in keratoconus patients: A comparative study through 2-year follow-up. J Ophthalmol. 2018;2018:4947983. 10. Magli A, et al. Epithelium-off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versus transepithelial cross-linking for pediatric keratoconus. Cornea. 2013;32:597–601. 11. Soeters N, et al. Transepithelial versus epithelium-off corneal cross-linking for the treatment of progressive keratoconu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Ophthalmol. 2015;159:821–828.e3 12. Jacob S, et al. Contact lens-assisted collagen cross-linking (CACXL): A new technique for cross-linking thin corneas. J Refract Surg. 2014;30:366–372. 13. Greenstein SA, Hersh P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utcomes of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for keratoconus and ectasia: implications for patient selec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013;39:1133–1140. 14. Spadea L, Mencucci R. Transepithelial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in ultrathin keratoconic corneas. Clin Ophthalmol. 2012;6:1785–1792.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