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World Korea March 2022 Issue

NEWS & OPINION 64 EWAP MARCH 2022 by Andres Parra, MD Contact information Parra: ASParra@mednet.ucla.edu Pineles: pineles@jsei.ucla.edu ‘후기 낭내 인공수정체 탈구가 동반된 안구에서 여러 디자인에 따른 인공수정체 재배치 수술’에 대한 고찰 Review of ‘Repositioning surgery of different intraocular lens designs in eyes with late in-the-bag intraocular lens dislocation’ 백내장의 추출과 함께 IOL(Intraocular lens, 인공수정체)이식 후 발생한 후기 낭내 IOL 탈구는 발생률이 0.5~1%로 알려져 있다.1,2 이러한 유형의 IOL 탈구는 특별한 문제가 없는 백내장 수술 후 평균적으로 6~12년 후에 발생하며, 위험요인으로는 거짓비늘, 외상, 고도근시, 유리체망막 수술, 포도막염 등이 있다.1–4 탈구를 해결하기 위해 수술을 감행하기로 결정하는 데에는 환자가 주관적으로 시각적 증상을 경험하는지, IOL이 탈구된 정도, 그리고 추가 탈구의 위험 등 수많은 요인을 고려한다.5 수술적 접근법으로는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 IOL 재배치 또는 IOL 교체가 있다. 기존 문헌에서는 주로 홍채 마찰(chafing)로 인한 포도막염녹내장-전방출혈(UGH) 증후군의 가능성 때문에 재배치에 사용되는 일체형IOL의 적합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6,7 그러나 이 연구의 저자들은 IOL 탈구가 낭에서 발생하고 재배치 수술 기법이 낭에서 IOL 을 유지해준다면 3-piece IOL 디자인과 비교했을 때 일체형IOL 에 유사한 안전성을 가질 것으로 가정했다. 설계 및 방법 이 전향적 코호트 연구는 후발 백내장 탈구에서IOL을 재배치할 때 다양한 IOL 디자인에 따른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IOL 설계에는 일체형 접이식 (n=17), 접이식3-piece(n=28), 플레이트 지지부(n=8), 일체형 리지드(rigid)(n=1)가 포함되었다. 수술 기법은 전방 접근법을 통해 ab externo suture loop 기법을 사용하여 공막 봉합을 하였는데 두 공막 고정점이 180도 떨어져 있고 약 1.8~2mm 윤부 뒤에 두 개의 10-0 폴리프로필렌 봉합사를 사용해 배치했다. 한 명의 안과의가 모든 수술을 수행했다. 모든 탈구가 낭내에만 있고 탈구가 낭 밖으로 나오지 않았는지 확인 하기 위해 광범위한 사전 검사가 실시되었다. 환자들은 같은 안과의에 의해 수술 후 6개월차, 1년차, 2년차에 검사를 받았다. 안전성의 1차 평가변수는 수술 후 UGH 증후군이나 재 탈구가 없는 경우로 결정되었지만 검사에서는 홍채염, 안압 변화 및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IOL 중심이탈과 같은 다른 합병증도 추적했다. 또 다른 평가변수는 술후 교정 원거리시력(CDVA) 및 술후 구면렌즈대응치의 변화 측면에서 평가한 유효성이었다. 구면렌즈 대응치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IOL가 탈구되기 이전의 굴절수치와(habitual refraction) 비교되었다. 인구집단의 선행요인으로는 42안(78%)의 거짓비늘, 10 안(19%)의 근시, 5안(9%)의 유리체망막 수술 이력, 4안(7%) 의 둔상, 3안(6%)의 포도막염 이력 등이 있었으며, 일부 눈에서는 위험인자가 겹쳤고 3안 (6%)에서는 선행요인이 없었다. 결과 요약 주요 분석은 치료 의향 분석을 사용한 장기 추적에서 감소로 인한 불확실성을 해명하는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IOL 디자인인 일체형 및 3-piece IOL의 재배치를 비교했다. 두 군 중 어느 군에서도 UGH 가 발생한 사례는 없었다. 3-piece IOL 군은 백내장 수술 전에 만성 안구 염증 병력이 있는 경미한 홍채염 1 건이 있었고, 재배치 수술 중 발견된 부러진 지지부가 있는 재탈구 1 건, 각막 대사부전 1 건이 있었다. 심각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중심이탈은 일체형 군에서 2안, 3-piece 군의 5안에서 관찰되었으며, 증상은 없었다. 최종 관찰 시 술후 평균 CDVA 는 일체형 IOL이 0.36 logMAR (0.14 ~0.59), 3-piece IOL이 0.29 logMAR (0.12~0.46) (P=0.58)로, 유사했다. 최종 관찰 시 구면렌즈 대응치의 평균 변화는 일체형 군에서 –0.08 D (95% CI, –0.93~ 0.77), 그리고 3-piece IOL 군에서 –0.98 (–1.73 to –0.23) 였다. 고찰 기존의 문헌은 UGH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후발 낭내 IOL 탈구의 경우 위치를 재조정하기 위한 사용되는 일체형 IOL에 안전성 문제가 있음을 제기한다. UGH 증후군은 고랑에 삽입된 모든 IOL4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낭내 삽입된 IOL 조차도 변형된 지지부, 낭 밖으로 탈구된 IOL 본문은 EyeWorld 2021년 12월호에 실렸던 글이다. 약간의 수정을 거치고 ASCRS Ophthalmic Services Corp.의 허락을 받아 재차 싣게 되었다.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