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AUCOMA 54 EWAP MARCH 2022 튜브 션트의 미란 또는 노출은 수술 후 수년이 지나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다. 여러 전문자들이 어떤 것을 살펴야 하는 지, 왜 이러한 합병증이 발생하며,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논했다. Jonathan Myers, MD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튜브 션트 미란이 일어나 수술이 필요해질 위험이 5~8% 라고 지적했다.1 튜브 션트 미란은 희귀할 정도는 아니지만 자칫 간과하고 넘길 정도로 드물게 발생하는데, 특히 수술 후 시간이 오래 지난 후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는 “가장 우려되는 증례는 감염이 발생한 경우”인데 “정말 놀랍게도 대부분의 미란이 감염을 수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튜브 션트와 관련된 감염이 일어나는 일은 비교적 흔치 않습니다” Dr. Myers 가 말을 이었다. 하지만 보통 그렇게 되면 미란이 있겠죠.” 대부분의 환자들은 무증상 이거나 눈꺼풀 하부에 약간의 자극을 느낄 수 있다. 미란은 작을 때도 있고 (반 밀리미터), 몇 달 간 튜브 션트의 미란/노출 Tube shunt erosion/exposure by Ellen Stodola Editorial Co-Director A: 튜브가 노출되어 있고 튜브의 안쪽 및 튜브의 안내 부분 주변으로 삼출물이 있다. B: 삼출물과 염증세포로 차 있는 튜브. C: 튜브를 자르는 모습. D: 튜브의 extender가 근위부 끝단 안으로 삽입되었다. E: 12시 방향으로 삽입된 튜브 및 튜브 위의 각막 patch graft. F: 주변 각막 위에 결막을 전진시킨다; 결막이 수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수술 몇 개월 후 윤부에 위치하게 된다. 출처: Reza Razeghinejad, MD Contact information Myers: JMyers@willseye.org Razeghinejad: razeghinejad@yahoo.com Smith: tsmith@glaucomaassociates.com 본문은 EyeWorld 2021년 12월호에 실렸던 글이다. 약간의 수정을 거치고 ASCRS Ophthalmic Services Corp.의 허락을 받아 재차 싣게 되었다. 미란이 일어나서 더 큰(3~5mm 또는 그 이상) 미란이 있을 수 있다고Dr. Myers가 말했다. Dr. Myers는 튜브 션트 미란에 몇 가지 위험 요소가 있다고 지적했다. Boston KPro (Massachusetts Eye and Ear)를 지닌 환자들은 위험이 더 높다. 그는 “해당 환자들은 안구 표면에 문제가 있고, 만성적으로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자주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다”고 말했다. “그런 환경에서 더 흔하게 미란이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튜브 션트에 대한 듀크 대학(Duke University)의 연구를 언급했는데,2 황반변성 및 관련된 문제 때문에 여러 번 항 VEGF 주사를 맞은 환자들이 튜브 션트 미란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한다. Oluwatosin Smith, MD에 의하면, 튜브의 노출은 튜브 션트 수술 후에 더욱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합병증 중 하나라고 한다. Tube Versus Trabeculectomy 연구에서 튜브 션트가 이식된 그룹에 속한 환자 중 5%에서 튜브 미란이 발생했으며 일부 환자는 재발했다.3 “수술 기법에 따라 일찍 발생할 수도 있고 아니면 튜브 션트 수술을 받은 지 수 년이 흘러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녀가 덧붙였다. 튜브 노출은 튜브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삽입물의 plate을 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Dr. Smith 는 튜브의 위치, 자리잡기, 안구 내로 들어가는 지점, 그리고 다른 안과 수술이나 조직 질환에 대한 환자의 병력이 튜브 미란과 관련된 몇 가지 요인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튜브에 가까운 위치에 망막 주사를 맞고 난 뒤 튜브가 노출된 경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튜브를 삽입할 때 노출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전방으로 진입하는 지점과 압력이 가해지는 지점에서는 튜브 자체가 눈꺼풀로 덮여 있어야 합니다” 그녀가 말했다. 이것이 핵심이기 때문에 Dr. Smith는 12시에서 전방으로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