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World Korea December 2022 Issue

CORNEA 24 EWAP DECEMBER 2022 ASIA-PACIFIC PERSPECTIVES Sharon D’Souza, MD Consultant, Dept. of Cornea, Ocular Surface, and Refractive Service Chief Coordinator, Ocular Surface Clinic Narayana Nethralaya, Bangalore, India drsharondsouza@gmail.com 안구건조증(Dry eye disease, DED)은 지난 수년간 기하급수적인 증가를 보였습니다. 우리는 이제 안구건조증이 기저 병인과 무관하게 염증, 고삼투압성, 눈물막 항상성의 소실과 관련 있는 다요인적 질병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1 DED는 전형적으로 눈물막의 변화에 따라 수성 눈물부족과 눈물 증발과다 안구건조증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실제 진료에서는 이러한 두 실체가 중첩되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1 그러므로, 안구건조증을 치료할 때에는 눈물막 요소를 보완해 줄 뿐만 아니라 염증 및 눈꺼풀이나 다른 이상들도 함께 치료해야 합니다. 안구건조증은 역동적이고 복잡한 질환이기 때문에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진단과 관리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법이 핵심입니다. 안구건조증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한 가지 어려움은 환자가 보이는 증상의 다양성입니다. 더욱이, 통각의 증가 또는 신경성 요소 때문에 증상과 징후 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2,3 전신 건강, 영양, 호르몬의 변화, 직업, 그리고 약물복용을 포함한 상세한 병력청취가 정확하고 완전한 진단에 도달할 수 있게 도움을 줍니다. 1차 및 2차 쇼그렌 증후군을 동반한 환자의 경우 질병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밀검사와 혈액검사를 진행하고 국소 요법 외에도 전신약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4 저희는 전신 비타민 D 결핍증이 안구건조증과 상처치유와 중요한 연관성이 있으며, 이러한 영양을 보충하는 것이 환자의 동반증상을 개선하고 염증을 줄인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5,6 마이봄샘 기능장애(MGD)와 눈물 증발 증가 안구건조증이 동반된 환자의 경우, 눈꺼풀의 꼼꼼한 평가, 마이봄의 질과 양을 보기 위한 마이봄샘expressibility, 모세혈관확장증 및 마이봄샘의 함몰(pitting) 같은 변화가 질병의 중증도와 만성도에 대한 실마리를 줄 수 있습니다. 온열찜, 눈꺼풀 위생관리와 같은 약물요법과 더불어 비수술적 시술(procedural treatment)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온열 진동 치료(Lipiflow, Johnson & Johnson, Jacksonville, FL, USA) 그리고 IPL광선 치료 (Eye-light device, Espansione Marketing SPA., Bologna, Italy, and E-Eye, E-Swin, Houdan, France) 가 난치성 및 만성 MGD 및 안구건조증 치료에 유용했습니다.7,8 이러한 치료들은 마이봄샘 분비의 질과 양을 개선하고 안구표면 염증을 줄여주는 이중역할을 합니다.9 만성 안구건조증에는 안구표면 염증 조절이 핵심이며, cyclosporine 0.05% 점안제가 안구건조증 징후와 증상을 개선해주고 오랫동안 지속가능한 좋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안구건조증 환자의 경우, MMP-9 그리고 인터루킨IL-6, 1β, 2, 4, 17, TNFα 와 같은 다양한 염증 요인이 변질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0 여러 분자 인자를 동시에 측정하고 즉각적인 결과를 주며 사용하기 쉬운 눈물기반 현장진단 바이오마커 분석이 안구건조증의 맞춤형관리를 제공하는 차기 첨단분야일 것입니다. (Bio-M Pathfinder, NovoMol-Dx, India, a customized version of the Ella™Automated ELISA system, Bio-Techne ® Corporation, Minnesota, USA). References 1. Craig JP, et al. TFOS DEWS II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Report. Ocul Surf. 2017 Jul;15(3):276-283. 2. D’Souza S, et al. Corneal Confocal Microscopy Features and Tear Molecular Profile in Study Participants with Discordance between Ocular Surface Disease Clinical Signs and Discomfort. J Clin Med. 2022 Apr 25;11(9):2407. 3. Thulasi P and Djalilian AR. Update in Current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of Dry Eye Disease. Ophthalmology. 2017 Nov;124(11S):S27-S33. 4. Vehof J, et al. Advances, limitations and future perspectives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ry eye in Sjögren’s syndrome. Clin Exp Rheumatol. 2020 Jul-Aug;38 Suppl 126(4):301-309. 5. Shetty R, et al. Lower Vitamin D Level and Distinct Tear Cytokine Profile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Mild Dry Eye Signs but Exaggerated Symptoms. Transl Vis Sci Technol. 2016 Dec 14;5(6):16. 6. Shetty R, et al. Corneal Dendritic Cell Density Is Associated with Subbasal Nerve Plexus Features,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and Serum Vitamin D in Evaporative Dry Eye Disease. Biomed Res Int. 2016;2016:4369750. 7. Hu J,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a vectored thermal pulsation system (Lipiflow®) in the treat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22 Jan;260(1):25-39. 8. Xue AL, et al. Randomised double-mask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the cumulative treatment efficacy profile of intense pulsed light therapy for meibomian gland dysfunction. Ocul Surf. 2020 Apr;18(2):286-297. 9. D’Souza S, et al. Clinical and Molecular Outcomes After Combined Intense Pulsed Light Therapy With Low-Level Light Therapy in Recalcitrant Evaporative Dry Eye Disease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Cornea. 2022 Sep 1;41(9):1080-1087. 10. Khamar P, et al. Dysregulated Tear Fluid Nociception-Associated Factors, Corneal Dendritic Cell Density, and Vitamin D Levels in Evaporative Dry Eye.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9 Jun 3;60(7):2532-2542. Editors’ note: Dr. D’Souza declared no relevant financial interests.

RkJQdWJsaXNoZXIy Njk2N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