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World Korea September 2018 Issue
EWAP CATARACT/IOL 31 September 2018 Lewis LEVITZ, MD Vision Eye Institute, Melbourne, Australia 27 Denmark Hill Road, Hawthorne East, 3123, VIC, Australia Tel. no. +61-(0)437224244 Fax no. +61-03-98823312 lewis.levitz@visioneyeinstitute.com.au 위 수정체 낭성 황반부종과 수술 후 녹내장 점안액 사용 사이에 연관성이 존재하는가? 최근 논문에서는, 수술 후의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PGA) 또는 베타 차단제(BB) 사용이 가수정체 낭성 황반부종(PCME)와 연관성이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 1 에서는 1억 5천만 명의 환자들이 포함된 PharMetrics Plu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했습니다. 총 19,979건의 증례들 중 508건의 증례들에서 백내장 수술 후 PCME가 발생했습니다. 이 환자들을 비슷한 연령과 성별의 5,080명의 백내장 수술 환자들과 비교했습니다. 결과는 매우 흥미롭고, 예상하지 못한 바였습니다. 수술 후 베타 차단제를 복용한 환자들의 경우, PCME의 대조 위험도가 2.64까지 증가했습니다. 수술 후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를 사용한 환자들의 경우 PCME의 대조 위험도는 1.86이었습니다. 따라서 수술 후 PGA와 베타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은, PCME의 발생 위험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외삽하여 임상 실제에 적용할 수 있을까? 2017년 말 발표된 논문 검토 결과, 2 PGA를 수술 전 중단해야 할 명확한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4건의 3상 임상시험에서, latanoprost와 전방 내 세포 반응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결과를 조화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수술 중 합병증이 이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입니다. 위수정체 환자에서 발생한 거의 대부분의 황반 부종 증례에서, latanoprost를 투여한 환자들은 CME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인자를 많이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후방 수정체낭 열상, 포도막염 병력, 유리체가 소실된 복잡한 백내장 수술 병력 등이 여기 포함됩니다.2 초기 연구에서는, blood aqueous barrier 층이 PGA에 의해 방해를 받기 때문에, 환자의 절반에서 후낭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3 이 후향적 연구에서 사용된 ICD 코딩은, 위수정체 환자들이 복잡한 수술로 인해 높아진 안압을 치료하기 위해 녹내장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않았습니다. 이 합병증들 역시 PCME의 위험성을 높였습니다. 보존제인 benzalkonium chloride(BAK) 자체는 CME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사실 항 녹내장 점안액에 의해 유발되는 CME의 경우, "보존제로 인한 위수정체 황반병증" 이라는 용어가 더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4 이 논문의 저자들은 수술 후 베타 차단제 또는 PGA의 사용과, PCME의 발생 사이의 관계를 증명한 현존 최대 규모의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유의한 원인에 대한 분석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결과를 바로 임상 실제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References 1. Wendel C, et al. Association of postoperative topical prostaglandin analog or beta-blocker use and incidence of pseudophakic cystoid macular edema. J Glaucoma . 2018;27(5):402–406. 2. Razeghinejad MR. The Effect of Latanaprost on Intraocular Inflammation and Macular Edema. Ocul Immunol Inflamm. 2017:1–8. 3. Arcieri ES, et al. Blood-aqueous barrier changes after the use of prostaglandin analogues in patients with pseudophakia and aphakia: A 6-month randomized trial. Arch Ophthalmol. 2005;123(2):186–192. 4. Miyake K, et al. ESCRS Binkhorst Lecture 2002: Pseudophakic preservative maculopathy. J Cataract Refract Surg. 2003;29:1800–1810. Editors’ note: Dr. Levitz declared no relevant financial interests. continued on page 32 Views from Asia-Pacific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Njk2NTg0